목록IT (32)
K_blueprint

● 하드웨어- 컴퓨터에서 각종 정보의 전송 통로를 제공해주고, 정보에 대한 처리가 실제 일어나게 해주는 물리적인 실체들 ● 소프트웨어어- 정보들이 이동하는 방향과 정보 처리의 종류를 지정해 주고, 그러한 동작들이 수행될 시간을 지정해주는 명령들의 집합 ● 컴퓨터의 기능필요한 데이터를 읽어서(read)처리(processing)하고결과를 저장(store)한다.● CPU(중앙처리장치, 프로세서)- ‘프로그램의 실행’과 ‘데이터 처리’라는 중추적인 기능의 수행을 담당한다,- CPU가 한 번에 처리하는 데이터의 길이(비트 수)에 따라 8비트, 32비트, 64비트 컴퓨터로 분류- 컴퓨터의 이론적인 처리 속도는 CPU의 성능에 의해 결정된다.- CPU는 기억장치, 입출력장치와 ‘시스템 버스’로 연결되어 있다. ● ..

- 목 차 -컴퓨터 기억장치의 정의와 종류RAM의 개념과 종류ROM의 개념과 종류RAM과 ROM의 내부 조직과 구성 방식참고자료 ● 컴퓨터 기억장치의 정의와 종류 먼저 컴퓨터의 기억장치(memory unit)은 크게 '주기억 장치'와 '보조 기억 장치'로 나뉘게 된다. 주기억장치는 중앙 처리 장치와 직접 자료를 교환할 수 있는 기억장치로서 쉽게 말해 컴퓨터가 동작할 때 처리하는 프로그램들의 명령이나 자료를 '일시적으로' 저장해 주는 역할을 해준다고 보면 편하다. 이는 보조 기억장치보다 접근 속도가 매우 빠르며 순간적인 내용을 찾고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종류로는 임의 접근 기억 장치(RAM : Random Access Memmory)와 읽기용 기억장치(ROM : Read Only Memo..

#includeint main(){ int A, B; scanf("%d %d", &A, &B); printf("%.9f\n", (double)A/B); // 소수점 아래 9자리까지만 출력, double자료형으로 강제 형변환사용 return 0;}해당 문제는 "스페셜 저지"라고 해서 예제 출력과 똑같이 출력할 필요 없이 조건에 맞는 답만 도출해내면 되는 문제이다.핵심은 알맞은 형식 지정자로 값을 받고 소수점 아래 출력될 숫자의 제한인 것 같다.평소에는 C++로 풀었는데 최근 학교에서 C언어를 다시 공부하고 있어서 복습 겸 C언어로 풀이했다.참고로 소스코드를 보면 매우 간단한 문제였지만 소수점 아래 표현될 수를 제어하는것과 계속해서 값이 나오지않아 엄청 틀렸던 문제이다.대체 어디가 문제였던거지

#includeusing namespace std;int main(){ int A; char B[4]; cin >> A; cin >> B; cout 코드분석1. 정수형 바료형으로 A에 값을 입력받고 문자열 자료형으로 B를 배열로 받음(3자리수 각각 분할하여 연산하기 위해서)2. 사용자로부터 A와 B에 값을 입력받는다.3. 문제의 "예제"처럼 472*385의 연산을 수행한 결과를 "예제출력"과 같게 하기 위해서는- 472 * 5- 472 * 8- 472 * 3- 472 * 385의 순서로 연산을 하면 되는데 문자열로 B[4]에 값을 받았기 때문에 우리는 숫자를 입력했지만 컴퓨터는 문자로 인식하여 출력한다, 즉 해당 수의 아스키코드로 출력을 하게 됨(아래 코드표 참고) 따라서 B[4]에 385를 입력하게 ..

- 핵 심 -제어문의 형식 파악과 차이점 이해하기제어문은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구분제어문 형식선택문if문if~else문다중 if~else문switch문반복문for문while문do~while보조 제어문break문continue문 - 선택문 -: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특정 문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문 >예시 - 변수 a의 값에 3을 입력했을 시 특정 문장을 출력하는 제어문#includeusing namespace std;void main() //main함수 선언{ int a; // 정수형 변수 a선언 cout > a; // a의 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입력문 if (a == 3) // "a의 값이 3일때"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if문 { cout : 2가지의 경우..

- 핵 심 -익숙해지기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자료의 형태 >int : 정수형 (int앞에는 signed가 생략되어 있다.)float / double : 실수형 자료형char : 문자&문자열 자료형void : "없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자료형bool : 값에 대하여 True이면 "1", False이면 "0"으로 출력하는 논리형 자료형(Tip)- 내가 원하는 값에 따라 알맞은 크기를 가진 자료형을 쓸 수 있으면 좋다. // : 뒤에 입력받는 문자 또는 숫자들을 주석처리함(한 줄만 주석처리)/* */ : 해당 기호 안에 있는 문자 또는 숫자들을 모두 주석처리함(여러 줄 주석처리) cout : "a"라는 문자를 출력함cout : 문자 a가 가지고 있는 값을 출력함(여기서 a는 변수)cin>> 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