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T (32)
K_blueprint

● BUN이란? Node.js 또는 Deno와 같은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패키지 관리자(실행환경) '빠른 시작', '빠른 실행 성능', '응집적인 DX'라는 세 가지 사항에 초점을 두고 만들어진 브라우저에서 작동하는 경량 JavaScript 라이브러리 노드의 Drop-in replacement 구조로 설계되어 어떠한 설정을 변경할 필요 없이 바로 노드 앱을 bun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웹 개발 / 모바일 앱 개발 / 데이터 시각화 등에 사용된다. Bun의 설계 목적 빠른 시작 Cold start시간을 중점적으로 만든 엣지 컴퓨팅으로 시작속도를 향상시킨다. 빠른 실행 속도 Safari에서 사용하는 성능 중심의 JS엔진인 JavaScript core를 사용해서 빠른 실행 속도를 보장한다. 일관된 ..

● IIS란? 마이크로 소프트의 윈도우에서 무료로 지원되는 웹 서버 전반적인 웹 사이트 용어 안에서, 아파치 웹 서버에 이어 두 번째로 가장 잘 알려진 웹 서버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를 사용하는 서버들을 위한 인터넷 기반 서비스들의 모임(현재 FTP, SMTP, NNTP, HTTP/HTTPS를 포함하고 있다.) Microsoft Windows OS에서만 실행된다. 윈도우를 사용하여 쉽게 설치가 가능 시각적으로 창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아서 쉽게 작업이 가능하다 웹 프로그램을 쉽게 설치 및 관리할 수 있다. ASP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ASP.net으로 작성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IIS웹 서버가 필요하고 여기에 PHP와 TOMCAT 연동이 가능하다. - 추가적으로 IIS는 asp..

● Tomcat이란? Apache 재단에서 만든 오픈소스 WAS Java Servlet과 jsp코드가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동적인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DB연결 및 데이터 조작, 타 응용 프로그램들과도 상호작용이 가능 웹 서버에서 넘어온 동적인 페이지를 읽어 들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시 HTML로 재구성하여 Apache로 전달하는 역할 웹 서버와 서블릿 컨테이너의 결합으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요청을 처리하고 다시 클라이언트에서 응답해 주는 역할 = 컨테이너) - Apache와 Tomcat을 연동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유는 다음과 같다. 만약 웹의 모든 정적/동적 데이터를 WAS가 처리한다면 결과적으로 이용자 요청의 응답이 느려지게 되는..
※ 정적 페이지(Static pages)와 동적 페이지(Dynamic pages)의 개념 Static pages(정적인 페이지 - 만들어놓은 것 그대로 제공) image, html, css, javascript 파일 같이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을 의미 서버에서 요청에 알맞은 파일을 반환하며, 항상 동일한 페이지를 반환한다. 웹 서버에서 제공한다. ex) 구글에서 요청한 파일이 없거나 문제 발생 시 404페이지 출력 등 Dynamic pages(동적인 페이지 - 상호작용을 통한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 들어온 요청에 맞게 동적으로 만들어진 콘텐츠를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 내 로직 등을 활용해 만들어진 콘텐츠를 반환한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제공한다. ex) 홈페이지 창 - 정..
● 워드프레스란? - 홈페이지, 블로그, 쇼핑몰 등 다양하게 제작이 가능한 CMS 콘텐츠 관리 시스템 중 하나 - 홈페이지 디자인이 가능한 테마, 기능을 담당하는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초보자도 완성도 높은 전문성 있는 사이트 제작이 가능한 플랫폼 -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한 '설치형 블로그' 또는 'CMS' (설치형 블로그와 가입형 블로그 두 종류가 있는데 차이는 아래와 같다.) 설치형 블로그 : 직접 블로그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자신의 웹호스팅에 설치하는 것 가입형 블로그 : 국내 사이트 중 네이버나 다음 같은 포털 서비스에 가임하면 블로그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 ※ CMS란? - Contents Management System으로서 웹사이트에 컨텐츠를 게시하는 소프트웨어다. 게시판과 이미지, 텍스트,..
● 깃(Git)이란? -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컴퓨터 파일의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여러 명의 사용자들 간에 파일에 대한 작업을 조율하는데 사용되는 무료 소프트웨어(버전 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 즉, 주로 여러 명의 개발자가 하나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할 때 소스코드를 관리하는데 주로 사용된다.(체계적인 개발이 가능하다.) = '병렬 개발' 가능 - '버전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버전이 업데이트 될 때 마다 효율적으로, 알아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며, 팀원이 여러 명인 경우 파일을 합친다고 했을 때 버전관리를 통해 각 파트별로 만든 파일을 본 버전에 합치는 과정을 돕기 위해 존재하는 시스템이다.(내가 원하는 시점(버전)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 장점 :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