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nfo-sec (3)
K_blueprint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2025.01.07 ~ 01.10 기간 동안 진행 되었던"CES 2025" 행사에 대한 삼일 PwC의 '미리 보기 보고서'를 읽게 되어보고서의 내용을 토대로 개인적인 생각과 함께 간단히 정리해보려 합니다! 아래에 보고서 링크를 달아두었으니 보다 세부적인 내용을 알고 싶으신 분들은직접 읽어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 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해당 보고서는 '삼일 PwC'에서 발간한 미리 보기 보고서이며 '삼일 PwC의 재해석을 통해' CES에서의 AI관련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박람회를 효율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길라잡이라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CES란?- CES란, 'Consumer Electronics Show'의 줄임말로써 매년 초 미국..
※ 암호학이란? 정보 보호를 위해 언어적 및 수학적 방법론을 다루는 학문'암호화 기법', '암호해독 기법'이 존재한다.암호화 : 메시지를 안전하게 만드는 과정 (기본 정보)※ 평문 : 누구나 읽을 수 있는 본래의 문서나 문장※ 암호문 : 평문을 암호 키, 혹은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처리한 문서 암호를 가장 먼저 사용한 사람으로는 율리우스 카이사르(julius Caesar)가 있다.그는 "각 글자를 세 글자 위에 있는 글자로 바꾸어 암호문을 제작"하였는데 이것이 암호학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 카이사르 암호 카이사르 암호를 다루기 전에 각 글자(알파벳)를 Base64의 형태로 변환시킬 필요가 있는데 관련 표는 아래와 같다.0A16Q1B17R2C18S3D19T4E20U5F21V6G22W7H2..

※ 제로 트러스트란?- '아무것도 신뢰하지 않는' 보안의 새로운 사고방식 - 모든 접근에 대해서 의심하고 검증하는 것(접근한 곳을 의심하는 것이 전제) - 기존에 쓰여왔던 보안 사고방식은 "경계 방어"이다. 이는 '사내의 네트워크는 신뢰하고 인터넷은 신뢰하지 않는다.'의 사고방식인데 명확하게 구별한 후 사내 네트워크와 인터넷의 경계를 확실하게 지킨다. - ex) 사내 네트워크는 '성', '성 안의 마을' 정도로 볼 수 있다. - "경계 방어"는 사내 네트워크 안의 사용자나 단말은 신뢰하기 때문에 사내 네트워크에 한 번이라도 들어온 침입자는 '신뢰할 수 있는 사용자'로서 마음대로 행동을 할 수가 있다.(+침입에 성공한 공격자가 사내 네트워크를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것을 '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