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32)
K_blueprint

● 하드웨어- 컴퓨터에서 각종 정보의 전송 통로를 제공해주고, 정보에 대한 처리가 실제 일어나게 해주는 물리적인 실체들 ● 소프트웨어어- 정보들이 이동하는 방향과 정보 처리의 종류를 지정해 주고, 그러한 동작들이 수행될 시간을 지정해주는 명령들의 집합 ● 컴퓨터의 기능필요한 데이터를 읽어서(read)처리(processing)하고결과를 저장(store)한다.● CPU(중앙처리장치, 프로세서)- ‘프로그램의 실행’과 ‘데이터 처리’라는 중추적인 기능의 수행을 담당한다,- CPU가 한 번에 처리하는 데이터의 길이(비트 수)에 따라 8비트, 32비트, 64비트 컴퓨터로 분류- 컴퓨터의 이론적인 처리 속도는 CPU의 성능에 의해 결정된다.- CPU는 기억장치, 입출력장치와 ‘시스템 버스’로 연결되어 있다. ● ..

- 목 차 -컴퓨터 기억장치의 정의와 종류RAM의 개념과 종류ROM의 개념과 종류RAM과 ROM의 내부 조직과 구성 방식참고자료 ● 컴퓨터 기억장치의 정의와 종류 먼저 컴퓨터의 기억장치(memory unit)은 크게 '주기억 장치'와 '보조 기억 장치'로 나뉘게 된다. 주기억장치는 중앙 처리 장치와 직접 자료를 교환할 수 있는 기억장치로서 쉽게 말해 컴퓨터가 동작할 때 처리하는 프로그램들의 명령이나 자료를 '일시적으로' 저장해 주는 역할을 해준다고 보면 편하다. 이는 보조 기억장치보다 접근 속도가 매우 빠르며 순간적인 내용을 찾고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종류로는 임의 접근 기억 장치(RAM : Random Access Memmory)와 읽기용 기억장치(ROM : Read Only Memo..

- 문 제 -KOI 전자에서는 건강에 좋고 맛있는 훈제오리구이 요리를 간편하게 만드는 인공지능 오븐을 개발하려고 한다. 인공지능 오븐을 사용하는 방법은 적당한 양의 오리 훈제 재료를 인공지능 오븐에 넣으면 된다. 그러면 인공지능 오븐은 오븐구이가 끝나는 시간을 분 단위로 자동적으로 계산한다. 또한, KOI 전자의 인공지능 오븐 앞면에는 사용자에게 훈제오리구이 요리가 끝나는 시각을 알려 주는 디지털 시계가 있다. 훈제오리구이를 시작하는 시각과 오븐구이를 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분단위로 주어졌을 때, 오븐구이가 끝나는 시각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 력 -첫째 줄에는 현재 시각이 나온다. 현재 시각은 시 A (0 ≤ A ≤ 23) 와 분 B (0 ≤ B ≤ 59)가 정수로 빈칸을 사이에 두고 ..

- 문 제 -상근이는 매일 아침 알람을 듣고 일어난다. 알람을 듣고 바로 일어나면 다행이겠지만, 항상 조금만 더 자려는 마음 때문에 매일 학교를 지각하고 있다. 상근이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보았지만, 조금만 더 자려는 마음은 그 어떤 것도 없앨 수가 없었다. 이런 상근이를 불쌍하게 보던 창영이는 자신이 사용하는 방법을 추천해 주었다. 바로 "45분 일찍 알람 설정하기"이다.이 방법은 단순하다. 원래 설정되어 있는 알람을 45분 앞서는 시간으로 바꾸는 것이다. 어차피 알람 소리를 들으면, 알람을 끄고 조금 더 잘 것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매일 아침 더 잤다는 기분을 느낄 수 있고, 학교도 지각하지 않게 된다. 현재 상근이가 설정한 알람 시각이 주어졌을 때, 창영이의 방법을 사용한다면, 이를 언..

구름 IDE로 리눅스 개발환경 만들기Sizeof 연산 타이핑해보기오버플로 예제를 언더 플로로 바꿔서 해보기(CHAR_MIN의 값에서 -1 하기)비트 연산 프로그램 바꿔보기(특정 위치의 비트를 끄는 함수 구현)C언어가 기계어가 되는 과정 직접 해보기1. 구름 IDE로 리눅스 개발환경 만들기- 먼저 구름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계정을 설정해준다.- 그 후에 컨테이너 만들기를 통해 개발 환경을 구축한다.나는 C언어로 환경을 만들었고 터미널을 실행하게 되면 아래와 같게 된다. 2. Sizeof 연산 타이핑해보기- 먼저 각 자료형마다 몇 바이트의 값이 할당되어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아래의 소스코드를 작성한다.(여기서 %zu는 자료형의 크기를 알 수 있는 형식지정자이다.) - 이후에 실행을 하게되면 각 자료형들의 크..

#includeint main(){ int A, B; scanf("%d %d", &A, &B); printf("%.9f\n", (double)A/B); // 소수점 아래 9자리까지만 출력, double자료형으로 강제 형변환사용 return 0;}해당 문제는 "스페셜 저지"라고 해서 예제 출력과 똑같이 출력할 필요 없이 조건에 맞는 답만 도출해내면 되는 문제이다.핵심은 알맞은 형식 지정자로 값을 받고 소수점 아래 출력될 숫자의 제한인 것 같다.평소에는 C++로 풀었는데 최근 학교에서 C언어를 다시 공부하고 있어서 복습 겸 C언어로 풀이했다.참고로 소스코드를 보면 매우 간단한 문제였지만 소수점 아래 표현될 수를 제어하는것과 계속해서 값이 나오지않아 엄청 틀렸던 문제이다.대체 어디가 문제였던거지
오늘 교수님께서 이런저런 말씀을 많이 해주셨는데 크게 3가지로 요약이 가능할 것 같다. 이 분야로 가고자 한다면 진득하게 파고 들어갈 자세, 관심이 있어야 한다.(아니라면 빠르게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 IT분야 취업은 백엔드, 프론트엔드 등과 같은 개발에 국한되지 않더라도 서울 쪽에서 시작을 하거나 안 되면 다른 지역에서 스펙을 쌓고 추후에라도 서울로 진출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좋다.(보안도 마찬가지) 대학교의 교육방식은 트렌드를 따라가기에는 많이 느리기 때문에 개인의 학습이 매우 중요하다.(트렌드를 반영하고 교육에 도입하기까지 최소 1년가량이 소비되기 때문, 개인이 무엇이 필요한지를 알고 그에 따라 공부하는 태도 중요) 이 말을 듣고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건 무엇보다 해당 분야에 대한 꾸준한 관..

#includeusing namespace std;int main(){ int A; char B[4]; cin >> A; cin >> B; cout 코드분석1. 정수형 바료형으로 A에 값을 입력받고 문자열 자료형으로 B를 배열로 받음(3자리수 각각 분할하여 연산하기 위해서)2. 사용자로부터 A와 B에 값을 입력받는다.3. 문제의 "예제"처럼 472*385의 연산을 수행한 결과를 "예제출력"과 같게 하기 위해서는- 472 * 5- 472 * 8- 472 * 3- 472 * 385의 순서로 연산을 하면 되는데 문자열로 B[4]에 값을 받았기 때문에 우리는 숫자를 입력했지만 컴퓨터는 문자로 인식하여 출력한다, 즉 해당 수의 아스키코드로 출력을 하게 됨(아래 코드표 참고) 따라서 B[4]에 385를 입력하게 ..

- 핵 심 -제어문의 형식 파악과 차이점 이해하기제어문은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구분제어문 형식선택문if문if~else문다중 if~else문switch문반복문for문while문do~while보조 제어문break문continue문 - 선택문 -: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특정 문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문 >예시 - 변수 a의 값에 3을 입력했을 시 특정 문장을 출력하는 제어문#includeusing namespace std;void main() //main함수 선언{ int a; // 정수형 변수 a선언 cout > a; // a의 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입력문 if (a == 3) // "a의 값이 3일때"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if문 { cout : 2가지의 경우..

- 핵 심 -익숙해지기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자료의 형태 >int : 정수형 (int앞에는 signed가 생략되어 있다.)float / double : 실수형 자료형char : 문자&문자열 자료형void : "없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자료형bool : 값에 대하여 True이면 "1", False이면 "0"으로 출력하는 논리형 자료형(Tip)- 내가 원하는 값에 따라 알맞은 크기를 가진 자료형을 쓸 수 있으면 좋다. // : 뒤에 입력받는 문자 또는 숫자들을 주석처리함(한 줄만 주석처리)/* */ : 해당 기호 안에 있는 문자 또는 숫자들을 모두 주석처리함(여러 줄 주석처리) cout : "a"라는 문자를 출력함cout : 문자 a가 가지고 있는 값을 출력함(여기서 a는 변수)cin>> a ..

- 핵 심 -함수의 기본 형식 파악하기#includeusing namespace std;void main() //main함수의 값을 void자료형으로 받겠다.{// STEP 1. : 변수선언// STEP 2. : STEP 1.에서 선언된 변수에 값을 저장// STEP 3. : 연산문(제어문)// STEP 4. : 출력문// STEP 5. : void이외의 자료형일때 -> "return 출력변수;" } ( 설 명 )STEP 1. - 변수를 선언하여 값을 받을 변수를 만들어준다.STEP 2. - 전 단계에서 선언된 변수에 값을 저장STEP 3. - 값이 저장된 변수들을 사용하여 연산(제어)STEP 4. - 출력문으로 원하는 값 출력(STEP 5. - 이 단계는 처음 main함수가 void(비워둠)로 선언되었..

평범한 공대생의 메모장입니다. 대학에서 배운 내용이나 혼자 공부하며 배우고 느낀 점들을 정리해 보려 티스토리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포트폴리오로도 사용이 가능하기도 하고 생각이나 공부했던 내용들을 정리하며 기록해 두면 추후에 학습할 때 원활할 것 같아서 생각해 온지는 꽤 됐지만 지금이라도 시작해 보려 합니다:-) 블로그나 개인 소통 창구를 운영해 본 경험이 없어서 글의 정리 수준이나 내용이 어느 정도 난잡할 수도 있지만 꾸준히 활동하며 최대한 보완해 나아가겠습니다! 미흡하거나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말씀해 주시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편안한 마음으로 방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개인 깃허브 주소입니다:-) https://github.com/WSIDFY